[최경하 수필] 셀폰
셀폰의 역사를 생각하면 웃음이 먼저 난다. 1989년도 일이니 꽤나 오래된 기억이다. 퇴근한 남편이 들어오지 않고 나를 밖으로 불러 냈다. 승용차에 내 키 만한 안테나가 달려서 바람에 흔들리며 자신의 존재감을 알리고 있었다.
Read more셀폰의 역사를 생각하면 웃음이 먼저 난다. 1989년도 일이니 꽤나 오래된 기억이다. 퇴근한 남편이 들어오지 않고 나를 밖으로 불러 냈다. 승용차에 내 키 만한 안테나가 달려서 바람에 흔들리며 자신의 존재감을 알리고 있었다.
Read more“여보, 이거 좀 버리면 안될까?” 내가 자주 하는 말이지만 남편은 물건을 치우고 버리는 걸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언젠가는 필요 하다며 꾸역꾸역 짐을 챙기듯 상자 가득 채워 놓고 서는 그 뒤로는 잊어버리는 사람이다. 그래서 남편의 꾸러미는 치워 버리고 싶은 애물단지로 남아있기 일쑤다.
Read more판문점은 정전협정 체결 후 유엔과 북한측 공동경비구역(JSA)으로 정해진, 동서 800m, 남북 400m의 장방형 공간으로 남북한 쌍방간의 행정관할권 밖에 있는 특수한 지역이다. 서울에서 서북쪽으로 62km, 평양에서 남쪽으로 212km, 그리고 개성에서는 10km 떨어진 곳에 있는 판문점은 항상 긴장감이 감도는 위험한 곳이다.
Read more아침 7시에 우리 부부는 지미 카터의 고향 플레인스를 향해 출발했다. 언젠가 한번 가보자고 벼르던 곳이다. 큰 아들이 고등학생이었을 때, 대통령이었던 지미 카터의 모교인 해군사관학교를 보러 갔었다.
Read more몸을 뒤척이다가 이른 새벽에 눈을 떴다. 아이고, 눈물부터 난다. 요 며칠 아들 산이가 툭툭 내놓는 말들이 마음에 쌓이더니 어디론가 쏟아내야 했나 보다. 다시 눈을 감고 도대체 왜 눈물이 나는지 묻고 또 묻는다. 지난 6월 말, 우리 가족은 뉴욕주에 있는 브루더호프 공동체를 4박 5일 동안 방문했다.
Read more신규 한인 이민자들 대다수의 고민은 집과 사업체다. 빈손으로 미국에 와서 내 가족이 살 집을 어떻게 마련해야 할지, 어떻게 내 이름으로 된 번듯한 스몰비즈니스 하나라도 가질 수 있을지 고민이 많다. 주변 사람들에게 이것저것 주워들어보지만 모르는게 너무 많다.
Read more다이닝 테이블에서 레고를 조작하던 아이가 갑자기 부엌에서 일하는 나에게 와서 무슨 큰 일이 난 것처럼 소리쳤다. “할머니, 할머니 키가 줄었어요!” “엥?” 하고 잠시 숨을 골랐다. 그리고 “내 키가 준 것이 아니라 너의 키가 큰 것이지.” 답하고 아이와 부엌 테이블에 마주 앉았다.
Read more“방류 오염수가 3개월 뒤 우리 바다를 덮친다?” “후쿠시마 서식 우럭이 우리 바다까지 헤엄쳐 온다?”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쏟아져나오는 해괴한 괴담과 망언으로 세상이 어수선하다. 당장 삼중수소로 범벅이 된 오염수가 우리 바다와
Read more이웃 친구 부부와 모처럼 저녁 식사를 나누며, 최근에 생긴 좋은 일이 뭐냐 고 물어보자, 첫 손자 보는 거 라 고한다. 캘리포니아에 사는 아들에게서 기다리고 기다리던 첫 손자가 태어나, 금년에도 이미 몇 번 갔다 왔다고 한다.
Read more연방대법원이 ‘어퍼머티브 액션’이 위헌이라고 판결한지 몇주가 지났다. 한인 학부모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앞으로 대학 입시에서 한인 및 아시안 학생들이 어떠한 영향을 받느냐는 것이다. 대학들이 아직 입시요강을 발표하지 않은 상태여서 함부로 예측할수 없다.
Read more통닭, 라비올리, 파이…. 7일(현지시간)부터 차기 교황 선출을 위한 콘클라베에 참여한 133명의 추기경에게 제공이...
애틀랜타 중앙일보는 한국 중앙일보의 미주 애틀랜타 지사입니다.
중앙일보의 공신력과 정보력을 바탕으로 애틀랜타 한인 커뮤니티에 가장 빠른 뉴스와 알찬 정보를 제공합니다.
© 2021 애틀랜타중앙닷컴 - 애틀랜타 정상의 한인 뉴스 미디어- 애틀랜타 중앙일보 JOONGANG DAILY NEWS ATLANTA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