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1건 26만sqft 계약 일방 취소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연방정부 조직을 축소하고 인력을 감축하면서 애틀랜타의 ‘대형 오피스 공실’ 현상이 더 심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상업용부동산(CRE) 중개회사 애비슨영이 최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연방조달청(GSA)이 올해 조지아주에서 취소한 오피스 임대계약은 11건으로, 총 25만 6800스퀘어피트(sqft)에 달하는 사무실이 공실로 남겨졌다. 이는 워싱턴D.C.(145만), 캘리포니아(34만), 오하이오(33만) 등에 이어 전국 6번째로 높은 수치다.
조달청이 계약을 중단한 배경엔 연방 공무원 대규모 해고 사태가 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2400명의 직원이 정리해고됨에 따라 11만 9812스퀘어피트 규모 오피스의 사용 계약을 취소했다. 이외 어류야생동물관리국(FSFWS), 중소기업청(SBA), 환경보호청(EPA) 등 10곳의 연방 행정부 애틀랜타 지역사무소가 인력 감축에 따라 오피스 재계약 없이 철수했다.
안정적인 장기 세입자 역할을 해온 정부 기관까지 애틀랜타를 빠져나가면서 상업용 부동산 침체가 가속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조달청은 내년말까지 임대의무기간이 끝나는 대로 전국 200만 스퀘어피트(sfqt)의 오피스 계약을 추가 종료할 방침이다.
정부 소유 건물이 매물이 경매로 나와도 재매각 가능성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연방정부는 국세청(IRS), 사회보장국(SSA) 등이 입주해 있는 애틀랜타 다운타운의 30층짜리 피치트리 서밋 빌딩을 매각할 방침인데, 현재 공실률이 30%에 달하는 데다가 개보수 비용이 최소 2억 5500만달러로 추산됨에 따라 수익성이 낮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애틀랜타 저널(AJC)은 “행정부의 정부 지출 삭감 움직임이 애틀랜타 오피스 시장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며 “계약 종료 의사를 불과 6개월 전에 통지하는 등 행정부의 무모한 정책 집행 속도 탓에 시장 혼란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장채원 기자 jang.chaewon@korea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