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 9일째인 4일(현지시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최대 원전인 자포리자 원전을 공격하면서 화재가 발생했다.
자포리아 원전에선 우크라이나 전체 전력의 20%를 생산한다. 원자력 발전소는 단일 단지로는 유럽에서 최대 규모이자 세계 10대 원자력 발전소 중 한 곳으로 꼽힌다.
이날 우크라이나 현지 매체와 영국 일간 가디언 등에 따르면 러시아군의 주요 침략 경로 가운데 한 곳인 크림반도 북쪽 자포리자주에네르호다르시에 위치한 이 원전 단지에는 950메가와트(㎿)급 VVER-1000 가압경수로형 원자로 6기가 있다. 하지만 러시아군 공격에 따라 현재 원자로 6기 중 1기만 가동 중이다.
자포리자 원전 측에 따르면 현재까지 강의동과 연구동에 화재가 발생했다. 행정동도 손상을 입었지만, 불이 붙진 않았다.
현지시간 오전 4시 기준 훈련단지 5층짜리 건물 1개동에도 원전 외부에 떨어진 폭격 영향으로 화재가 발생했다.
우크라이나 당국과 원전 측은 현재 자포리자 원전 주변 방사능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있다고 밝혔다. 다만 AP통신은 익명을 요구한 우크라이나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방사능 수치가 상승 중이라고 보도했다.
AFP통신에 따르면 자포리자 원전 측은 시설은 안전한 상태며, 핵 안전도 보장됐다고 밝혔다.
소방당국은 화재 진압을 위해 진입을 시도했지만, 러시아군 공격이 이어지면서 진압에 난항을 겪었다. 다만 현재 공격이 중단되면서 원전 부지 진입에 성공한 것으로 전해졌다.
투즈 대변인은 BBC 러시아에 “러시아군을 대표하는 차량이 떠났다”며 “이제 협상을 할지, 아니면 더 (공격을) 할지 결정이 남았다”고 말했다.
원전 측은 화재가 계속될 경우 원자로가 위험에 처할 것이라며, 소방대원이 신속히 진입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우크라이나 전략통신정보보안센터는 현지시간 오전 1시40분께 텔레그램을 통해 “러시아군의 계속된 포격으로 자포리자 원전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당국은 원전 1호기가 공격을 받았다고 전했으며, 자포리자 원전 측은 “실제적인 핵 위험 위협이 있다”며 러시아에 대대적인 포격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드미트로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트위터에 “자포리자 원전이 폭발할 경우, 체르노빌보다 규모가 10배는 클 것”이라며, 러시아에 즉각 포격을 중단해 소방대원이 진입할 수 있도록 하라고 규탄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원자로 6기는 1980년 4월 1호기를 시작으로 1986년 6월까지 순차적으로 지어졌다.
또 1984년 12월부터 원자로 1호기가 전력을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나머지 원자로 5기도 1985년 7월∼1995년 10월 순차적으로 가동에 들어갔다.
뉴욕타임스(NYT)는 현재로썬 전체 원자로 6기 가운데 절반인 3기는 가동을 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내부엔 폐연료봉 등을 보관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7일 워싱턴DC 백악관에서 회담하고 있다.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트럼프-젤렌스키-회동-350x250.jpg)
![지난 19일 러시아 미사일과 드론 공격으로 우크라이나 크레멘츠크의 에너지 시설이 불타고 있는 가운데 아침 햇살이 비쳐 하늘이 붉게 물들었다.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08/A6-우크라이나-2-350x250.jpg)
![18일 백악관에서 열린 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 집행위원장 등과 대화하고 있다.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08/트럼프-젤렌스키_800-350x250.jpg)
![지난 15일 백악관에서 기자들을 향해 걸어나오는 트럼프 대통령.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07/2025-07-22T095550Z_295522567_RC26NFARUTZ7_RTRMADP_3_USA-TRUMP-EPSTEIN-DEFAMATION_800-350x250.jpg)
![15일 알래스카에서 열린 정상회담에 참석한 푸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악수하고 있다.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08/2025-08-16T175029Z_13274526_RC2R7GAUV0RW_RTRMADP_3_UKRAINE-CRISIS-SUMMIT-RUSSIA-350x250.jpg)
![마르크 뤼터 나토 사무총장(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J.D.밴스 부통령,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07/트럼프-나토_800-350x25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