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 내가 만나는 남자 노인들과 이야기를 하다 보면 챗지피티와 제미나이가 많이 나온다. 전화기에 대고 한국말로 물으면 즉석에서 답을 주어서 편리하고, 전문적인 응답도 받고, 대답이 정치판 편견이나 편파적이지 않아 믿을 만하기에 많이들 사용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북에 간 적이 있었다는 발언이 나오자, 그런 적이 없다는 사람도 있었다. 한 분이 핸드폰에 입술을 가까이 대고 챗지피티에 물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북에 간 적이 있나?” 그리고 해답 버튼을 누르니 당장 답장이 나온다. “2019년 6월...

Read more

모든 것의 가치를 숫자로 측정하는 인간 사회에서 는 책 제목은 삶의 흐름에서 잠시 멈추어 돌아보라고 채근하는 것 같았다. 이 책의 원제는 서비스베리(The Serviceberry). 서비스베리라는 이름도 처음 보았거니와 번역한 제목과 사뭇 달라 책 내용이 더욱 궁금해졌다. 그리고 저자 로빈 윌 키머러에 대한 소개도 눈길을 끌었다. 제일 먼저 보이는 엄마라는 단어. 남성에 대비되는 개념이 아닌 관계를 나타내는 어휘다. 뒤이어 아메리카 선주민 출신 생태학자라고 소개한다. 키머러는 시티즌 포타와토미 네이션의 일원인데, 그들은 서비스베리를 베리...

Read more

그림책으로 인생배우기 (43) 일 년 중 낮이 가장 긴 날, 하지(6월 21~22일)쯤에 캔 감자를 하지감자라 한다. 낮이 길어서 햇볕을 많이 쬐어 맛과 영양이 좋은 감자이다. 하지가 지나면 장마가 시작되고 습한 기후에 감자가 썩기 쉬워서, 어릴 때, 시골에서는 하지 지나고부터 감자를 끼니처럼 먹곤 했다. 삶은 감자를 더 맛있게 먹으려고 나는 설탕에 찍어 먹었는데, “어떻게 감자를 설탕에 찍어 먹냐? 소금에 찍어 먹어야지.” 하는 핀잔을 듣고, 설탕과 소금으로 치열한 논쟁을 벌인 적도 있다....

Read more

베이징의 자금성(紫禁城)은 명, 청대에 걸쳐 24명의 황제가 거주하며 통치하던 황궁이다. 1988년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의 ‘마지막 황제’의 배경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마지막 황제’는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선통제 푸이의 굴곡진 삶을 보여주는 영화다. 푸이는 황제가 될 운명으로 태어났지만 시대의 격랑 속에서 이리저리 치이며 포로로 모진 고초를 당하다가 풀려난 후에는 베이징에서 평민으로 새 삶을 시작한다. 천하를 호령하던 황제에서 일개 정원사가 됐지만, 그제서야 그는 누군가에게 이용되지 않는, 자신의 삶에 있어서의 ‘황제’가 된다. 그리고 다시...

Read more

우리가 사는 세상을 떠올리면 어쩐지 남성의 얼굴이 먼저 떠오르곤 한다. 대통령의 연설, 대기업 CEO의 인터뷰, 뉴스 속에서 비춰지는 권력자의 모습은 대부분 남성이다. 그래서 오랫동안 사람들은 “세상은 남자들이 움직인다”라고 믿어 왔다. 하지만 우리의 시선을 일상으로, 조금만 더 가까운 곳으로 돌려보면 다른 풍경이 보인다. ‘쉬코노미’(She-conomy) 즉, 여성이 경제의 주체가 되는 현상은 더 이상 특정 분야의 트렌드가 아닌, 글로벌 경제 전체를 움직이는 강력한 힘이다. 시사 주간지 타임이 처음 사용한 이 용어는 여성이 수동적...

Read more

노인들에게 다양한 취미 생활을 배울 기회를 마련한 ‘행복대학’에 나도 참가한다. 이곳에는 각종 악기와 운동, 영어, 수학, 노래, 성경 등 여러 강좌가 있고, 점심 전에는 ‘행복 토크’ 시간에 참가자들이 자신의 경험을 나눈다. 이번 주 행복토크 주제는 ‘기도의 응답을 받은 경험’이었다. 남자들만 둥근 테이블에 둘러앉아 돌아가며 나눈 이야기들은 영화보다도, 소설보다도 더 진실되고 흥미로웠다. 그중 한 분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내가 들으며 상상하고 이해한 내용을 그대로 옮겨 보면 이렇다. “1975년, 나는 미국에 왔습니다.” 그의...

Read more

책을 읽다 보면 끝난 줄 알았는데 뜻밖의 부록이 펼쳐질 때가 있다. 요즘의 내 삶이 그렇다. 새롭게 펼쳐지는 부록 같은 날들은 또 다른 빛깔로 다가오고 있다. 예전에 보았던 월간미술 잡지가 떠오른다. 가끔 별책 부록과 함께 받을 때면, 선물 받고 들뜬 아이처럼 기분이 좋았다. 전시 일정과 작가 소개, 작품 사진들을 한 눈에 볼 수 있어 늘 먼저 손이 갔다. 내게 ‘부록’ 이라는 단어 뒤에는 반가움과 설렘이 숨어 있는지도 모른다. 미국으로 건너오기 전까지,...

Read more

로마의 보르게세 (Borghese) 공원과 도시 중심가 가까이 있는 건물 4층을 개조한 숙소는 완벽한 위치였다. 가고 싶은 곳 걸어서 찾아갈 수 있었고 이동하지 않고 한곳에 머무니 마음도 여유로웠다. 숙소의 넓은 방들의 벽과 천정의 그림들이 문을 열어준 문화도시를 찾아 나섰다가 건물사이로 바람에 펄럭이던 태극기를 보며 “아하!” 했다. 내가 어디서 왔음을 상기시켜 줬다. 오랜 역사의 흔적으로 질펀한 도시에서 나는 5천년 역사를 가진 모국을 겹쳐봤다. 남은 것과 사라진 것들, 대대로 지켜온 것과 버린 것들,...

Read more

리더의 말은 중요하다. 리더의 말은 단순한 언어적 유희가 아니라,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따를 생각과 행동의 기준을 제시하며, 사회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마오쩌둥(毛澤東)은 탁월한 언어적 감각과 깊이 있는 중국 고전 학습을 통해 짧은 단어 몇 개로 자신의 뜻을 표현하고 이를 행동으로 옮기는 탁월한 능력을 갖고 있었다. 중국 전문가 김명호 박사는 이렇게 정리한다. “마오쩌둥은 말의 힘을 터득한 언어전략과 선전선동의 대가다. 장제스가 국공내전에서 패배한 것은 선전 선동에 미숙했기 때문이다.” 혁명기 중국공산당의 많은...

Read more

  탁배기 한 사발이 넘쳤다 떠난 사람 떠나고 없어서 되레 무성한 비 운 자 리 말로써 없는 체취를 가득 채우는 부재의 전말서 있잖아요로 시작하는 소곤거림 들을 사람 다 듣는 막돼먹은 문법이 헤집을 수록 야릇한 해방감 같은 입의 배설이 서늘하다 침묵은 몇 킬로그램일까 입이 방정이라는데 뒷말에 뒷말이 몹시 구리겠지만 거르지 않은 탁배기 한 사발에 거슬거슬한 시장기가 후련하다 이게 아닌데 하다가도 뻥 뚫린 가슴이 남몰래 웃고 있다 그게 그렇다 세상 참

Read more

Welcome Back!

Login to your account below

Create New Account!

Fill the forms below to register

*By registering into our website, you agree to the Terms & Conditions and Privacy Policy.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