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1982년 1월 이후 최대폭
에너지·식료품이 급등 주도…전월 대비 상승세는 누그러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주로 참고하는 물가지표가 급등했다.
29일 CNN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올해 3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6.6%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982년 1월 이후 최대폭이다.
최근 미국 물가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 불안으로 상승세가 가속했다.
에너지는 3월까지 33.9% 급등했고, 식료품 가격은 9.2%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는 5.2%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 대비 PCE 지수는 0.3% 상승으로, 2월에 기록된 0.6%에 비해 상승세가 꺾였다.
경제전문가들은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1분기에 정점을 찍은 뒤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물가 관련 통계의 급등세가 다소 꺾이더라도 이미 금리 인상을 개시한 연준의 정책 방향에는 별다른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PCE는 가계 및 민간 비영리단체의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지출의 합계로, 소비자물가지수(CPI)보다 낮게 산출된다. 연합뉴스.



![이미지사진. [출처 셔터스톡]](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09/shutterstock_1980000383-350x250.jpg)
![최근 인플레이션과 관세 영향이 겹치며 학부모들의 가계 부담이 한층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셔터스톡]](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09/shutterstock_605655842-350x250.jpg)
![지난 11일 뉴욕 맨해튼에서 쇼핑백을 들고 걸어가는 남성.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08/2025-08-14T132301Z_837113639_RC285GAX1DM4_RTRMADP_3_USA-ECONOMY-RISKS-COLUMN-GRAPHICS_800-350x250.jpg)
![7월 들어 도매 물가가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셔터스톡]](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08/shutterstock_1848610870-350x25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