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표 결제 확인 가장해 개인정보 요구
ID도용·지인사칭·사금융 피해도 많아
지난해 조지아 주에서 일어난 사기 범죄 4건 중 1건은 금융기관을 사칭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거래위원회(FTC)가 이달 내놓은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FTC에 신고된 조지아주 내 사기 피해는 16만 6229건으로 전국에서 15번째로 많았다. 주민당 신고수로 전국 1위다. 총 피해 금액은 2억 3430만 3273 달러로 주민 10만명당 210만 달러를 손해본 셈이다.
이중 금융기관 사칭형 사기 건수가 전체의 25%를 차지해 가장 흔한 유형의 사기 수법으로 드러났다. 수표 결제를 위해 은행에서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척 하면서 개인정보를 요구하거나 신용 조사 또는 부동산 대출 심사를 사칭하는 사례도 다수 보고됐다.
이어 ID 도용(23%), 지인 또는 가족 사칭(9%), 대출 등 불법 사금융(5%), 가짜 전자상거래(4%), 불법 채권추심(4%), 자동차 허위 광고(4%), 경품 및 복권 당첨 사기(2%), 신용카드 사기(2%), 인터넷 가입 사기(2%) 순으로 나타났다.
위원회는 “사기수법이 점차 정교해짐에 따라 피해 연령도 다양해지고 있다”며 “개인정보나 금전을 요구하는 상대방이 누군인지 일단 의심하고, 기관의 공식 창구를 통해 다시 한번 확인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장채원 기자 jang.chaewon@koreadaily.com

![전국적으로 연방 대법원의 공식 문서처럼 보이는 가짜 편지가 사회보장연금 수급자들에게 발송되고 있어 관계 당국이 긴급 경고를 내렸다. [출처 셔터스톡]](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shutterstock_1585465861-350x250.jpg)
![한 여성이 아침에 눈을 떴을 때, 이메일 알림을 통해 자신의 저축 계좌 전액이 이체된 뒤 계좌가 닫혔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WSB-TV가 보도했다. [AI 생성 이미지]](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09/ChatGPT-Image-Sep-30-2025-03_32_01-PM_800-350x250.png)
![비트코인 ATM 이미지 사진. 기사와 관련 없음. [출처 셔터스톡]](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09/shutterstock_1261474762-350x250.jpg)


![사기범들이 QR 코드가 포함된 뜨밖의 소포를 보내 개인 정보를 훔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출처 셔터스톡]](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09/shutterstock_2116540529-350x25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