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조지아주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구금사태 당시 체포됐다가 풀려나 귀국한 근로자 중 일부가 현장으로 최근 복귀한 것으로 확인됐다.
뉴욕타임스(NYT)는 13일 풀려난 근로자 중 최소 30명이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으로 복귀했다고 보도했다. 구금자 중 B1 비자 소지자는 전원 비자 유효 재확인을 받았다.
체포 사태 현장이 있는 조지아주 사바나에 거주하는 임태환 조지아 동남부 연합한인회장은 연합뉴스와의 전화 통화에서 “지난 9월 이민세관단속국(ICE)에 구금됐던 한국인 근로자 3명이 지난달 B1(단기상용) 비자로 재입국한 것을 직접 목격했다”며 “이들은 구금 경험에도 불구하고 업무 완수를 위해 조지아주로 출장을 왔다”고 밝혔다.
임 회장은 “이들은 미국 입국 시 기존에 발급된 B1 비자를 이용했으며, 공항 입국 절차에도 큰 문제는 없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현지 한인매체 관계자도 “지난달부터 B1 비자로 입국하는 현대차 관련 출장자들이 보인다”며 “다만 출장자들이 비자면제프로그램(ESTA) 보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B1 비자를 정식으로 발급받아 입국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또 조지아주 현지 법조계에 따르면, 체포됐다가 귀국했던 한국인 근로자중 2명은 지난달 서울 주재 미국 대사관으로부터 “미국 국무부는 귀하에게 발급된 B1/B2 비자가 명시된 기간까지 유효함을 확인한다”는 답변을 e메일로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지난 9월30일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양국 정부 간 상용 방문 및 비자 워킹그룹 회의에서 미 측은 우리 기업들이 대미 투자 과정에서 수반되는 해외 구매 장비의 설치(install), 점검(service), 보수(repair) 활동을 위해 B-1 비자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과, 무비자 전자여행허가(ESTA)로도 B-1 비자 소지자와 동일한 활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재확인했다고 한국 외교부가 밝힌 바 있다.
체포-구금-석방을 거쳐 귀국한 한국 근로자 일부가 소지한 B1비자로 미국에 재입국 한 일과, 미 대사관으로부터 기존 비자 사용 가능 확인을 받은 것은 이 같은 미측의 방침이 실행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일로 풀이된다.
9월4일 미 이민 당국은 조지아주 사바나 소재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일하던 한국인 317명을 포함해 근로자 450여명을 체포, 구금해 큰 파장을 불렀다. 연합뉴스
![4일 LG엔솔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 ICE 단속 모습. [ICE 제공]](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09/ice-제공-현대-배터리_800-750x422.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트럼프-350x250.jpg)
![조지아 메타플랜트 내 배터리 공장 이민단속 현장.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1/엘지엔솔-단속현장-350x250.jpg)
![석방된 한국인 근로자 태운 대한항공 전세기가 애틀랜타 공항을 이륙하고 있다.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09/전세기-이륙-350x250.jpg)

![지난 3월 26일 브라이언 카운티에서 열린 현대차 메타플랜트 개소식에 참석한 켐프 주지사가 연설하고 있다. [켐프 엑스 캡처]](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켐프-현대-메타플랜드_800-350x250.jpg)
![30일 워싱턴DC에서 조지아주 한국인 구금 사태의 재발방지를 위해 '비자 워킹그룹' 첫 회의가 열리고 있다. [외교부 제공]](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PYH2025100101730007101-350x25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