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국 대학 진학률이 점차 떨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4년제 대학 졸업생 절반 이상이 졸업 후 1년 내에 불완전한 취업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스트라다인스티튜트와 버닝글라스인스티튜트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21년 사이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이들 가운데 52%는 졸업 후 1년이 지나도 ‘불완전한 취업 상태(4년제 대학 학위가 필요한 직종에 취업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이들 중 45%는 졸업 후 10년이 지나도 여전히 학사 학위가 필요하지 않은 직종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종별 차이도 있었다. 아시안 졸업생들의 졸업 1년 후 불완전 고용 비율은 47%로 가장 낮았으며, 백인(53%), 히스패닉(57%), 흑인(60%)이 그 뒤를 이었다.
전공별로 보면 이공계와 교육·보건 분야 졸업생들의 불완전 고용률은 37% 미만으로 비교적 낮았으며, 일반 경영이나 공공 안전 등의 학위를 취득한 졸업생은 더 높은 수준(57%)의 불완전 취업 상태에 직면했다.
다만 비교적 안정적으로 취업하고 높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전공 졸업자 중에서도 분야별 취업 상태의 차이는 있었다.
컴퓨터과학(36%)·공학(26%)·수학(35%) 학사 학위 취득자는 불완전 고용률이 매우 낮은 반면, 생명과학 학위를 취득한 졸업생은 그 비율이 47%로 비교적 높았다.
분석에 따르면 4년제 대학 학위를 요구하는 수준의 직장을 다니기 위해서는 졸업 후 첫 직장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사 학위가 필요한 직장에서 커리어를 시작한 졸업생 79%는 졸업 후 5년이 지나도 같은 수준의 직업을 유지했으나, 불완전 취업 상태로 커리어를 시작한 졸업생의 73%는 대학 졸업 후 10년이 지나도 불완전 고용 상태인 것으로 석됐다.
소득 수준의 차이도 존재했다. 대학 학위가 필요한 직장에 취업한 졸업생은 일반적으로 고등학교 졸업장 소지자에 비해 약 88% 많은 수입을 올리는 반면, 불완전 취업자는 고등학교 졸업자보다 약 25% 많은 수입을 올리는 데 그쳤다.
뉴욕지사 윤지혜 기자 yoon.jihye@koreadailyny.com

![하버드대 교정에서 학생, 교직원 등이 트럼프 행정부의 ‘대학 길들이기’ 정책에 항의하는 집회를 벌이고 있다.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05/하버드대-시위-2-350x250.jpg)

![15일 LA공립기술전문학교의 입학 상담실인 '브릿지 센터'에서 예비 학생들이 전공 정보를 검색하고 있다. [사진 김상진 기자]](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07/1-17-350x250.png)
![불확실한 경제와 업무에서 AI 활용이 늘면서 젊은 대학교 졸업자들의 실업률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맨해튼 캠퍼스에서 열린 콜럼비아대 졸업식.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06/1-13-1-350x250.png)
![에모리대 졸업식에서 학생들이 환하게 웃으며 박수치고 있다. [학교 홈페이지 캡처]](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05/에모리-졸업식-사진-홈페이지-캡처_800-350x25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