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색인종 지원자 합격률 줄이라는 무언의 압박” 비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각 대학이 입학 전형 과정에서 인종 요소를 고려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각종 정보를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10일 백악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대학 지원자의 인종과 시험 점수, 학점 평균 등의 상세 정보를 수집하라”고 교육부에 지시했다.
이어 “교육부 장관은 120일 이내에 강화된 보고 요건을 공개하고, 제출된 데이터가 정확한지 검사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고등교육 입학의 투명성 보장’으로 명명된 이번 지시는 최근 컬럼비아대와 브라운대 등 아이비리그 대학들이 입학생의 인종 정보를 포함해 모든 표준화된 정보를 연방정부에 공개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프로그램을 폐지하고 차별을 없애겠다고 주장해 왔다.
특히 대학들이 성적이나 시험 점수가 아닌, 인종이나 성별 등 소수자를 우대해 학생들을 뽑았다고 주장하며 소수자 우대 정책을 없애지 않으면 연방 보조금 등을 삭감하겠다고 압박했다. 이에 재정난을 우려한 대학들은 잇따라 학생 선발 정보를 공개하겠다고 동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학생과 납세자는 고등교육기관의 공정성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인종에 기반한 입학 관행은 불공평할 뿐 아니라 미국의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정부는 2023년 연방대법원이 소수계 우대 입학제도인 ‘어퍼머티브 액션’을 위헌으로 판결한 데 따라 대학들이 실제로 이 정책을 폐지했는지에 대해서도 조사를 벌여왔다. 이에 따라 대학들이 제공한 정보는 실제로 대학이 입학 과정에서 소수 인종에게 특혜를 주고 있는지 면밀히 조사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현실적으로 각종 정보를 수집하기 어렵고, 이번 지시는 트럼프 행정부가 대학들에 유색인종 입학률을 낮추라고 우회적으로 압박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뉴욕타임스(NYT)는 “현재 대학 지원시 학생들이 인종 정보를 제출하지도 않는데 행정부는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며 “교육부 산하 국가교육통계센터(NCES) 관련 직원들은 트럼프 취임 직후 대부분 해고됐다”고 전했다.
대학들이 관련 정보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데일리뉴스에 따르면 최근 컬럼비아대는 사이버 공격으로 인해 87만명의 학생과 지원자, 교직원의 소셜시큐리티넘버(SSN) 등 민감한 정보가 유출됐다.
김은별 기자 kim.eb@koreadailyn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