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DC의 백악관 인근에서 26일 주방위군 소속 병사 2명이 총에 맞아 숨졌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 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을 통해 병사들의 피격 사실을 알렸다. 총에 맞은 군인들은 위중한 상태로 각각 병원에 옮겨져 치료받다가 사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두 주방위군을 쏜 짐승(총격범)도 중상을 입었다”며 “이와 무관하게 가혹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용의자도 총에 맞고 법집행 당국에 체포됐다.
이날 총격은 백악관에서 한 블록 떨어진 장소에서 발생했다. 사건의 여파로 백악관은 일시적으로 문을 닫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추수감사절 연휴를 맞아 플로리다주에 머무르고 있으며, 사건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 DC에는 범죄 척결을 명분으로 내세운 트럼프 대통령의 비상사태 선포에 따라 지난 8월 11일부터 주방위군이 배치됐다.
이후 2000명 넘는 주방위군이 투입됐는데, 이들은 워싱턴 DC 자체 주방위군뿐만 아니라 미 동부 일대의 주에서도 차출된 병력이다. 이번에 사망한 병사들은 웨스트버지니아 주방위군 소속이다.
워싱턴 DC 시정부는 일방적인 주방위군 투입이 자치권을 훼손한다며 소송을 제기했고, 연방지방법원은 지난 20일 주방위군 배치를 금지하는 가처분 신청을 인용하는 한편 다음달 11일까지 그 이행을 보류한 상태다.
워싱턴 DC에 이어 테네시주 멤피스에도 주방위군이 투입됐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오리건주 포틀랜드와 일리노이주 시카고 등에도 주방위군을 투입하려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치안 강화를 위한 주방위군 투입의 당위성을 주장하며 투입 병력을 증강하거나 주요 도시에 주방위군 투입을 다시 추진할 지 주목된다.
![26일 워싱턴 백악관 앞 총격사건 현장 인근 거리를 주방위군 병사들이 걷고 있다.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1/A6-워싱턴-총격_800-750x502.jpg)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근교에 거주하던 브루나 카롤리네 페레이라(왼쪽)와 그의 아들 마이클 레빗 주니어(오른쪽)의 모습. 페레이라는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불법이민 단속으로 11월에 체포돼 루이지애나주의 ICE 시설에 구금돼 있다. 이 사진은 페레이라의 자매인 그라시엘라 도스 산토스 로드리게스가 페레이라의 석방을 위해 개설한 법률 대응 비용 모금을 위한 고펀드미 페이지에 실려 있다. [고펀드미 페이지 캡처]](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1/AKR20251126133500009_01_i_P4-350x250.jpg)
![백악관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1/백악관-1-350x250.jpg)


![1일 워싱턴 DC 의사당 앞, 셧다운으로 방문객 센터를 닫는다는 내용의 안내 게시판.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의사당-게시판_800-350x25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