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후 2시 조지아주 포크스턴에 디레이 제임스 교정시설. 겹겹이 둘러싸인 철장 안 건물 앞에 제복을 입은 간수의 지시에 따라 30여명이 줄을 서기 시작했다.
모두 푸른색 죄수복 하의를 입었다. 30도가 훌쩍 넘는 무더위 속에 고개를 떨군 채 손에는 서류 한 장씩을 들고, 한숨을 내쉬며 100여m 옆 조사실로 옮기는 무거운 발걸음이 300여m 떨어진 철장 너머까지도 분명하게 전해졌다. 중앙일보가 포착한 조지아 서배너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공장에서 체포된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의 실제 모습이다.
첫번째 그룹이 조사실로 끌려가듯 들어가고 30여분이 지나자 또다른 30여명이 줄을 서서 먼저 들어간 동료들을 기다렸다. 잠시 후 조사를 마친 사람들이 조사실에서 나왔다. 그런데 인원이 10여명으로 줄어 있었다.
조사실 내부에서 수감자들의 체류 자격 심사를 진행해 한국인 근로자들을 다시 분류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기업의 투자로 이뤄진 미국 현지 공장의 준공을 앞당기기 위해 급파된 한국 기술자들이 하루 아침에 불법 체류 범죄자가 돼 장기 수감 또는 강제 추방 대상으로 분류되고 있다는 의미다.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에 대한 조사는 30여명씩 그룹을 나눠 한참동안 계속됐다. 기자가 시설 밖에서 큰 소리로 “한국인들이 얼마나 있는가” “시설 내부의 상황은 어떤가” 등을 물었지만, 시설의 관리자들이 급하게 가로막으면서 근로자들과의 소통은 이뤄지지 못했다.
시설 관계자는 무기를 소지한 채 “사유지로 한 발자국이라도 들어오면 체포하겠다. 촬영도 안 된다”며 언성을 높였다. “공유지에서의 취재는 언론의 자유”라고 맞선 기자와의 실랑이가 이어진 끝에 경찰이 출동해 “사유지 밖에서의 취재는 가능하다”고 유권해석을 하고 나서야 시설 관계자는 한발 물러났지만, 차량을 세워놓고 취재 과정을 계속 감시했다.
한국인 근로자들은 지난 4일 장갑차까지 동원한 이민당국의 이례적 단속 과정에서 체포됐다. 손목과 발목에 수갑이 채워졌고, 심지어 온몸에 쇠사슬이 묶인 채 공장에서 170km 떨어진 이곳 시설에 구금됐다. 시설 주변은 휴대전화 전파조차 잡히지 않는 오지다.
근로자들이 수감된 구역 바로 옆에는 주황색 죄수복 차림의 수감자들이 있었다. 철장으로 구분된 구역에 있던 수감자들은 “한국 기자”라는 말에 “치노(Chinoㆍ동양인을 비하하는 말) 수백명이 들어왔다”며 “선별 과정인 지금은 푸른색 옷을 입고 있지만 곧 범죄가 확정된 우리처럼 주황색 죄수복을 입고 같이 생활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일부 수감자들은 “여기는 제대로 된 물도 없고 음식도 없다. 한국인들도 다를 게 없을 것”이라며 비아냥조로 웃어보이기도 했다.
포크스턴= 강태화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