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뉴욕에서 한인과 흑인들이 함께 모이는 전국 컨퍼런스가 열렸다. 2018년부터 이어져온 ‘우리 우지마(wooriujima.org)’ 대회였다. ‘우리 우지마’는 우리말 ‘우리’와 아프리카 스와힐리어 ‘우지마’를 붙인 말로 ‘우리가 함께하는 일과 책임’이라는 뜻이다. 한인 전국 권익단체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미교협)와 흑인 이민자 단체 ‘언다큐블랙 네트워크(UBN)’가 공동 주최한 행사다.
미교협과 UBN의 인연은 2017년에 시작됐다. 1992년 LA 4.29 사태 등을 거치며 이른바 ‘한흑 갈등’의 역사를 가진 두 커뮤니티가 ‘이민자 권익’이라는 하나의 목표를 가지고 ‘한흑 연대’의 기틀을 10년 가까이 쌓아가고 있다. 하지만 올해 행사는 한흑 연대 그 이상의 뜻으로 뭉쳤다. 정부의 이민자 탄압이 그 어느 때보다 극심해졌고, 미국 사회의 민주주의가 위태롭게 느껴지고 있는 까닭이다.
이에 참가자들은 풀뿌리 활동가들이 어떻게 장기적인 사회 변화를 이끌어 나갈지 토론했다. 특히 민주주의가 파괴되고, 권위주의로 나아가는 현 미국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 지가 참가자들의 고민이었다. 한국과 아이티 등의 민주화 운동 사례를 나누고, 미국에 온 이민자들이 어떻게 고국에서의 정의와 평화를 위한 정신을 이어가고 있는지 소개했다.
올들어 미국 내 이민자 수는 지난 6월까지 최소한 140만~150만 명이 줄었다. 한국 광주 또는 대구 시에 사는 사람들이 통째로 반년 만에 사라진 셈이다. 이대로 계속 가면 여러 지역의 이민자 커뮤니티 경제가 무너질 뿐 아니라 미국 경제 전체가 흔들린다.
법치도 망가지고 있다. 정부의 잇따른 조치들은 법을 무시하고 조롱하는 수준이다. 한국의 비상 계엄과 같은 ‘반란법’ 선포까지 우려되고 있다. 이 와중에 정치는 실종되고 정부 ‘셧다운’이 이어지고 있다.
마침 ‘우리 우지마’가 열리던 지난 18일 전국에서 정부의 이민자 탄압과 반민주적 행태를 규탄하는 ‘노킹스데이’ 시위가 열렸다. 50개 주 2700여 지역에서 700만 명이 거리로 나섰다. 지난 6월보다 200만여 명이 더 가담했다. 하루에 펼쳐진 미국 역사상 가장 규모가 큰 시위였다. 그리고 시민들은 외쳤다. 권위주의 정부에 맞서 “미국에는 왕이 없다. 권력은 국민에게 있다”고. 이민자 체포와 구금, 추방에 맞서 “어떤 인간도 불법일 수 없다”고 외쳤다. 그리고 비뚤어진 정치에 맞서 “증오와 공포에 반대한다. 여기 우리는 모두를 환영한다”고. 그리고 모든 국민들에게 “미국이여, 각성하라. 지금 우리는 정상이 아닌 상태”라고 호소했다. 이날 ‘우리 우지마’ 참가자들도 모두 같은 마음으로 연대의 주먹을 쥐고 흔들었다.
행사를 끝내며 참가자들은 흑인 여성 민권 운동가 아사탸 샤쿠르가 남긴 말을 함께 구호로 외쳤다. 샤쿠르는 지난 9월 25일 사망했다. 흑인 해방과 저항 운동의 상징적 인물 가운데 한 명이며 그가 자서전에 남긴 글은 ‘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 운동의 집회에서 가장 널리 외치는 대표적인 구호가 됐다. “자유를 위해 싸우는 것은 우리의 의무이다. 승리하는 것은 우리의 의무이다. 우리는 서로를 사랑하고, 서로를 지켜야 한다. 우리가 잃을 것은 오직 우리의 사슬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