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국가 부채가 두 달 만에 1조 달러가 늘어나면서 38조 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22일 AP 통신에 따르면 재무부의 지난 21일 자료에서 국가 부채는 지난 8월 37조 달러를 찍은 데 이어 이날 38조 달러를 돌파했다. 이같은 증가세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늘어난 기록적인 사례라고 AP통신은 분석했다.
미국 국가 부채는 2024년 1월 34조 달러였으나 6개월 뒤인 같은 해 7월 35조 달러를 넘었고 다시 4개월 뒤인 11월 36조 달러로 늘었다.
연방상원 합동경제위원회(JEC)의 분석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부채는 지난 1년간 1초당 7만1253.9달러씩 증가하고 있다.
미국은 2001년 이후 매년 재정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2016년부터는 적자 폭이 더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는 경기 부양책으로 인해 부채 증가 속도가 더 가팔라졌다.
국가 부채 증가 원인으로는 그간 사회보장제도·의료 서비스 지출 확대, 이자 지급 비용 증가 등이 지목된다. 이에 더해 최근 연방정부의 일시적 업무정지(셧다운)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와튼 스쿨의 켄트 스매터스 교수는 AP통신에 “국가 부채 증가는 궁극적으로 더 높은 인플레이션을 불러오고 미국인들의 구매력을 저하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10월 2일 워싱턴 DC 내셔널몰 표지판에 국가 부채가 표시되어 있다.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2025-10-02T175653Z_2061696774_RC2T3HA07Q5T_RTRMADP_3_USA-SHUTDOWN-750x500.jpg)
![애틀랜타 하츠필드-잭슨 국제공항에서 탑승객들이 보안검색대를 향해 움직이고 있다. 연방정부 셧다운이 길어질 수록 보안검색 대기시간이 길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애틀랜타-공항-350x250.jpg)
![보안검색대 줄에 서 있는 사람들. [TSA 페이스북]](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06/보안검색대-줄-TSA-페이스북-350x250.jpg)

![관제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캘리포니아주 버뱅크 공항 관제탑.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버뱅크-공항-관제탑_800-350x250.jpg)
![8일 연방정부 셧다운이 계속 되는 동안 내셔널몰에 모래주머니가 쌓인 모습.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2025-10-08T134322Z_522619169_RC2P7HATD5L1_RTRMADP_3_USA-SHUTDOWN_800-350x250.jpg)
![3일 시카고 이민세관단속국(ICE) 앞에서 경찰을 비롯, 무장한 법집행 인력이 시위대와 대치하고 있다.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A6-시카고_800-350x25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