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정부의 부분적 업무정지(셧다운)가 40여일 만에 종료됨에 따라 국내선 항공편 감축 조치도 끝나게 됐다.
연방항공청(FAA)은 일요일인 16일 밤 성명을 내고 동부시간 기준으로 월요일인 17일 오전 6시를 기해 국내선 항공편 감축 조치를 해제한다고 밝혔다.
셧다운에 따른 관제사 부족으로 지난 7일부터 항공사에 항공편 감축 조치를 부과한 지 열흘여만이다.
감축 조치에 따라 5500여편이 취소되고 2만3000편이 지연되는 등 국내선 운항에 차질이 잇따랐고 시민 상당수가 불편을 겪었다.
브라이언 베드포드 FAA 청장은 인력 수급 우려가 지속적으로 줄어든 덕분에 이번 감축 종료 조치를 할 수 있게 된 것이라면서 “이에 따라 정상적 운영으로의 복귀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했다.
상당수 항공사는 감축 조치의 종료를 예상했던 것으로 보인다. 몇몇 주요 항공사 관계자들은 익명을 전제로 17일자 항공편을 취소하지 않았으며 그럴 계획도 없다고 로이터에 말했다.
16일 항공편 취소율은 40개 주요 공항에서 0.25%에 불과했다. 셧다운 여파가 없던 평소보다도 낮은 취소율이다.
FAA는 항공사들의 감축 조치 비협조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면서 대응 조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감축 명령 당시 제한을 초과해 운항된 항공편마다 최고 7만5000달러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FAA는 당초 10%까지 점진적으로 항공편 감축 비율을 늘리려다가 셧다운이 종료 수순을 밟으면서 6%에서 멈췄다.
셧다운은 지난달 1일 시작돼 43일째인 지난 13일 역대 최장기 기록을 쓰며 종료됐다.
셧다운으로 급여를 받지 못하게 된 관제사들이 출근하지 않으면서 당국은 항공편 감축 조치를 단행했고 11월말 추수감사절 연휴에 시민들이 고향을 찾을 항공편을 구하지 못해 대란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일었다.
연합뉴스
![애틀랜타의 하츠필드-잭슨 국제공항에서 여행객들이 보안검색을 위해 줄을 서있다.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1/애틀랜타-공항-750x500.jpg)

![미 의사당 건물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2025-10-24T010753Z_423921392_RC2YHHAB9236_RTRMADP_3_USA-SHUTDOWN-350x25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