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쏟아지는 화산재에 그대로 묻힌 4인 가족’, ‘죽음의 문턱에서 서로를 꼭 끌어안은 모녀.’
약 2000년 전 폼페이에 닥친 ‘그날의 비극’은 후대가 복원한 화석에 고스란히 드러난다.
고대 로마제국의 가장 융성했던 이 도시는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과 함께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후대의 복원가들은 폼페이오 희생자의 시체가 있던 빈 공간에 석고를 부어 당시의 재난 상황을 모형으로 재현했다.
그런데 이들 석고 모형에 붙여진 해석 일부가 실제와 동떨어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7일 영국 일간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이탈리아·독일 등 과학자들로 구성된 연구진은 이날 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by)에 게재한 논문을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특히 연구진은 ‘금팔찌의 집’이라고 명명된 공간의 화석에 대한 기존 해석이 틀렸다고 지적했다.
이 모형은 어른 2명과 아이 2명이 앉거나 누워있는 모습인데, 그간 복원가들은 이 네 사람이 가족일 것으로 추측했다. 아이를 안고 있는 한 어른이 팔찌를 착용했다는 점을 토대로 그가 두 아이의 어머니이고 나머지 한 명을 아버지라고 추정한 것이다.
하지만 석고모형에 들어가 있는 뼛조각에서 추출한 DNA 분석 결과, 팔찌를 한 어른을 포함한 네 사람 모두 남성이며 서로 혈연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두 사람이 포옹하고 있는 모습의 또 다른 석고 모형도 분석했다. 그동안 연구자들이 어머니와 딸이거나 자매일 것으로 추정한 모형이었다. 하지만 연구진은 이들 중 한 명은 남성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그간 폼페이 화석에 대한 일부 해석이 고정관념에 기반했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합뉴스
 
                                 
  
			 
   
    	
 
		 
                                 
                                 
                                 
                                 
                                 
                                 
     
     
     
     
 
 
     
  
     
    ![조나단 라마 브라운 [마리에타 경찰 제공]](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blurred-frame-1-350x250.jpg)

![총격 살해 사건이 벌어진 벅헤드 아파트 단지에서 경찰이 현장을 조사하고 있다.  [폭스5 방송 캡처]](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아버지-아들-살해-1_800-350x250.jpg)
![전문가들은 ‘한 시간의 보너스 수면’은 반가운 소식이지만, 그 이면에 건강 리스크가 숨어 있다고 경고한다. [출처 셔터스톡]](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shutterstock_2342280861-350x250.jpg)
![로스앤젤레스 푸드뱅크에서 주방위군이 식료품을 포장하고 있다.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2025-10-29T203514Z_684868444_RC2ULHAT4KT9_RTRMADP_3_USA-SHUTDOWN_800-350x250.jpg)
![현재 사무실 건물로 사용되고 있는 새틀라이트 불러바드 선상 부지. [구글맵 캡처]](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개스사우스-아파트-단지-350x25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