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시큐리티 연금, 세금에서 자유롭지 않다. 많은 사람들이 은퇴 후의 재정 계획에서 소셜시큐리티 연금을 중요한 소득원으로 생각한다. 그런데 이 연금에도 세금이 부과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혹은 알고 있더라도 계산이 복잡해 보여 그냥 넘기기도 한다. 실제로는 그리 복잡하지 않다. 핵심은 ‘통합 소득(Combined Income)’이라는 개념 하나만 제대로 이해하면 된다. 이 통합 소득이 얼마인지에 따라 연금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연방 소득세 과세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통합 소득은 단순히 소셜시큐리티 연금 수령액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조정된 총소득(Adjusted Gross Income, AGI), 비과세 이자소득, 그리고 소셜시큐리티 연금의 절반을 모두 더한 금액이 바로 통합 소득이다. 여기서 조정된 총소득은 근로 소득, 연금 인출액, 배당금, 자본이득 등 과세 대상 소득을 모두 합친 금액이다. 비과세 이자는 주로 지방정부가 발행한 채권(Municipal Bond)에서 발생하는 이자소득을 말하는데, 연방 소득세는 면제되지만 통합 소득 계산에는 포함된다. 그리고 소셜시큐리티 연금의 절반도 반드시 포함된다. 예를 들어 연금을 연 2만달러를 받는다면, 그중 1만달러만 통합 소득에 포함되는 식이다.
이렇게 계산된 통합 소득이 일정 기준을 넘어서면 연금의 일부가 세금 대상이 된다. 세금이 부과되는 기준은 세 단계로 나뉘고, 신고 유형에 따라 그 기준도 달라진다. 여기서는 부부 공동 신고(Married Filing Jointly)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통합 소득이 3만2000달러 이하일 경우에는 연금에 대해 세금이 전혀 부과되지 않는다. 이 구간은 흔히 ‘세금 프리존’이라고 불릴 정도로, 가장 이상적인 상태다. 소셜시큐리티 연금 외에 다른 소득이 적은 경우 여기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통합 소득이 3만2000달러를 초과하고 4만4000달러 이하인 경우에는 연금의 일부가 과세 대상이 된다. 초과한 금액의 50% 혹은 연금 수령액의 50% 중 더 적은 금액이 과세 대상이다. 예를 들어 통합 소득이 4만달러라면 초과 금액인 8000달러의 50%인 4000달러가 과세 대상이 된다. 즉, 전체 연금 중 일부만 일반 소득으로 간주해 세금이 부과된다.
세 번째 단계는 통합 소득이 4만4000달러를 넘는 경우이다. 이때는 최대 연금의 85%까지 과세 대상이 될 수 있다. 다만, 실제 과세 금액은 두 가지 계산 방식 중 더 적은 금액을 기준으로 정해진다. 하나는 전체 연금 수령액의 85%이고, 다른 하나는 2단계와 3단계 구간에 대한 과세 금액을 각각 따로 계산해서 합산한 금액이다.
예를 들어 통합 소득이 1만달러이고 연금이 6만달러인 경우를 보자. 이때 연금의 85%는 5만1000달러다. 단계별 계산으로는 먼저 2단계 구간에서 1만2000달러(4만4000달러 – 3만2000)에 대해 50%를 적용해 6000달러가 과세되고, 3단계 구간에서는 5만6000달러(10만달러 – 4만4000달러)에 대해 85%를 적용하면 4만7600달러가 과세된다. 이를 합하면 5만3600이 되지만, 연금의 85%인 5만1000달러보다 크므로 실제 과세 대상은 5만1000달러가 된다. 이 금액이 일반 소득에 포함되어 소득세가 계산된다.
결국 중요한 것은 본인의 전체 소득 구조를 잘 파악하고, 통합 소득이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아는 것이다. 연금 자체가 아니라 전체 소득 상황에 따라 세금이 달라지기 때문에, 은퇴 이후 재정 계획을 세울 때 반드시 이 기준을 고려해야 한다.
소셜시큐리티 연금이 무조건 세금이 붙는 것도 아니고, 무조건 면제되는 것도 아니다. 누구에게는 전액 면제가 될 수 있고, 또 다른 누군가는 연금의 85%까지 과세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합 소득의 크기에서 비롯되며, 연금 외에 다른 소득이 많을수록 연금에 세금이 붙을 가능성도 커진다.
이처럼 복잡해 보이는 소셜시큐리티 연금의 세금 문제도 핵심 원리만 이해하면 비교적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다. 통합 소득을 기준으로 단계별 과세 구조를 잘 숙지하고, 자신의 소득 범주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 은퇴 후 예상치 못한 세금 폭탄을 피하려면 지금부터라도 소득 조정과 세금 전략을 준비해 두는 것이 좋다.
▶문의: 770-234-4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