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은행 한미은행 한미은행

이종원 '커뮤니티 광장'

애틀랜타 한인타운의 중심지인 귀넷카운티의 선거구 재조정(redistricting)이 지난달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의 서명으로 확정됐다. 지난해 센서스 인구조사 결과에 따라 선거구 인구를 균등하게 조정하는 이번 절차에서 귀넷 유권자 40%가 새로운 선거구에서 투표하게 됐다. 한인들에게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변화라면 역시 교육위원 선거일 것이다. 5명으로 구성된 교육위원은 교육감을 선임하고 귀넷 공립학교의 중요 사항을 결정하는 권한을 지닌다. 귀넷 교육위원회는 몇십년간 백인 공화당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최근 몇 년간 민주당 당선자가 꾸준히 나왔고 교육위원 5명중...

Read more

지난 2월 28일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에서 한 남성이 별거한 접근금지 명령을 신청한 아내와 자녀 3명을 총격살해하는 사건이 있었다. 이 같은 일가족 총격 사건은 애틀랜타에도 종종 벌어지고 있다. 지난해 4월애는 애틀랜타 팰컨스 전 풋볼 선수였던 필립 애덤스가 일가족 5명을 총격 살해했다. 애틀랜타 한인타운에서는 지난 2013년 존스크릭 한인 밀집 아파트에서 인도계 이민자 일가족 4명이 자살, 피살된 사건이 있었다. 대부분의 일가족 피살 사건에는 무고한 어린이들이 함께 희생되는 사례가 많다. 위의 사례처럼 극단적인 경우는 아니지만,...

Read more

최근 LA와 샌프란시스코로 두번 출장을 다녀왔다. 코로나 팬데믹 이래 2년만에 방문한 LA에서 가장 놀란 점은 홈리스(homeless)였다. LA에 홈리스 문제가 어제오늘 일은 아니지만, 팬데믹 이후로 홈리스가 더욱 많아져 코리아타운 이곳저곳에 홈리스가 누워있었다. 코리아타운 근처 거리 일부는 홈리스 텐트가 점령하고 있었고, 길거리는 홈리스가 헤집어놓은 쓰레기가 널브러져 지저분했다. 식사를 하러 간 고급 한식집 바로 옆에도 절반쯤 부서진 캠핑카 안에 노숙자들이 당당하게 자고 있었다. 샌프란시스코도 사정은 마찬가지여서, 멋진 정부청사 옆 건물 쓰레기더미 속에서 홈리스...

Read more

애틀랜타 총격 사건이 3월로 1주년을 맞이한다. 코로나19 팬데믹과 반중정서를 계기로 커진 증오범죄가 안타깝게도 총격사건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에도 뉴욕에서 한인 크리스티나 유나 리(Christina Yuna Lee) 씨와 미쉘 알리스 고(Michelle Alyssa Go)씨가 공격당하거나 목숨을 잃었다. 스톱 AAPI 헤이트(Stop AAPI Hate) 설문조사에 따르면 아시아계의 73%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증오범죄를 당할 수도 있다는 공포에 시달리고 있다고 답했다. 많은 한인들이 증오범죄 규탄에 나서고 있지만, 전국적 차원에서 증오범죄를 방지하는 방법은 정부와 정치인이 움직여서 체계적으로 금지...

Read more

요즘 한인식당을 가보면 일할 사람이 부족하다는 사실이 실감난다. 24시간 식당은 사람을 구하지 못해 야간 영업을 중단했고, 일반 식당도 영업시간을 축소하고 있으며, 식당 내에서는 1-2명의 웨이트레스들이 밀려드는 손님의 주문을 따라가지 못해 뛰어다니고 있다. 맥도날드, 칙필레 등 대형 프랜차이즈들도 인력이 모자라 매장 문을 닫고 드라이브 스루만 운영하는 형편이다. 코로나19 이후 한인식당 등 요식업계의 고통이 심각하다. 그렇다면 요식업 종사자들은 사람이 귀한 이 때에 제 몫을 받고 있으며 제대로 대접받고 있는가. 이에 대해 최근...

Read more

물가상승과 인플레가 예사롭지 않다. 한인타운 마트만 가봐도 물가가 오르지 않은 것이 없고, 한인식당을 가도 짜장면 설렁탕값이 모두 올랐다. 코로나 상황과 인플레라는 이중고 속에서 월급쟁이와 스몰비즈니스 위주로 구성된 한인 중산층은 더 많은 고통을 겪고 있다. 더욱 큰 문제는 인플레이션이라는 커다란 상황에 대해 한인 소비자 개개인이 할수 있는 것이 거의 없다는 사실이다. 소비자 전문가들은 중산층 및 유샐인종 이민자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더 많이 겪고 있다고 지적한다. 비영리소비자매체 컨슈머리포트 부편집장인 페니 왕은 “미국민 90%가...

Read more

오미크론 바이러스의 위세가 무섭다. 그동안 필자 주변의 한인들은 코로나에 걸린 사례를 거의 본 적이 없는데, 올해는 주변에 오미크론에 걸렸다는 사례를 종종 본다. 한 언론에서는 “주변에 오미크론 걸린 사람이 없다면 친구가 없는 것”이라고 평하기도 했다. 특히 심각한 것은 백신을 접종받지 못하는 5세 이하 어린이들, 그리고 백신 접종률이 낮은 청소년들이다. 필자의 가족들은 청소년들까지 모드 부스터샷 접종을 마쳤지만, 자녀들이 다니는 학교에서 코로나 밀접 접촉이 3번이나 발생했다. 다행히 우리 가족에게는 큰일이 없었지만 청소년들의 오미크론...

Read more

최근 미국 정계와 법조계의 화제는 연방대법원에서 벌어지는 낙태권 전쟁이다. 한인사회에는 관심이 덜하지만 미국 사회에서 볼 때는 나라의 뿌리를 뒤흔드는 보수, 진보 대립 전쟁이다. 소송의 경과는 이러하다. 미국 연방대법원은 1973년 '로 대 웨이드(Roe v Wade)' 판례를 통해 여성들에게 임신 중기까지 낙태권을 보장하게 되었다. 즉 태아가 자궁 밖에서 생존할 수 있는 임신 22∼24주 이전에는 낙태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가톨릭, 기독교, 보수 단체 등은 생명을 존중해야 한다며 낙태를 허용해서는 안된다는 법정투쟁을...

Read more

조지아, 앨라배마 등 남부 주의 선거구 재조정 관련해 법적 판단이 속속 나오고 있다. 선거구 재조정(redistricting)이란 10년에 한번씩 미국의 모든 인구가 동등한 비율의 대표자(연방하원의원, 주상하원의원, 시장, 교육위원)를 가질 수 있도록 선거구 지도를 다시 그리는 것이다. 그러나 다수당은 현직 및 자기 정파 정치인들에게 유리하게 선거구 지도를 왜곡하곤 하는데 이것을 개리맨더링(gerrymandering)이라고 부른다. 미국 역사를 보면 다수당은 특히 소수민족 및 이민자들에게 불리하게 선거구를 그리는 사례가 많았다. 지난 2021년에 전국적으로 시행된 선거구 재조정도 예외는 아니었다....

Read more

한인들이 미국생활에 반드시 구입해야 하는 품목 중 하나가 자동차이다. 그러나 비싼 가격에 비해 복잡한 구입절차 때문에 딜러와 소비자 가운데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가 꽤 있다 이와 관련해 연방거래위원회 (Federal Trade Commission)는 한인 등 이민자들이 자동차 관련 분쟁과 차별을 겪는 사례가 많다고 밝혔다. FTC 재정부(FTC’s Division of Financial Practices) 변호사인 다니엘 드와이어는 지난해 뉴욕 브롱크스 혼다 딜러십의 매니저인 카를로 피탄토를 상대로 소송한 사례를 들었다. 피탄토 매니저는 흑인과 히스패닉 소비자들에게 더 비싼 자동차...

Read more

Welcome Back!

Login to your account below

Create New Account!

Fill the forms below to register

*By registering into our website, you agree to the Terms & Conditions and Privacy Policy.

Retrieve your password

Please enter your username or email address to reset your pass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