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내셔널, 오뙤르, 어워드. 이 세 단어 중에서 인터내셔널이라는 단어에 집중하고 싶습니다. 나라의 장벽을 점점 더 높이 쌓아올리는 요즘 세계 정치인들과 다르게, 외국 영화에 관심을 기울이는 여러분께 경의를 표합니다.”
박찬욱 감독이 트로피를 안고 한국어로 수상소감을 말하자, 사바나에서 긴 박수갈채가 쏟아졌다. 불과 두 달 전, 사바나 인근 현대차 메타플랜트 부지 공사 현장에서 벌어진 한국인 구금사태를 고려할 때 상징적 장면이다.
지난 25일 조지아주에서 열린 제28회 사바나 칼리지 오브 아트 앤 디자인(SCAD) 영화제 첫 날, 박 감독은 신작 ‘어쩔수가없다’로 국제 오뙤르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영화계에서 독보적 세계를 구축한 인물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박 감독은 “외국의 문화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저희 같은 한국의 예술가들에게 좋은 일이지만, 그것은 또 여러분에게 좋은 일이기도 하다”며 “다른 나라의 사람들이 어떤 일에 기뻐하고, 어떤 일에 슬퍼하는지 안다는 것은 생각의 깊이와 비전의 너비를 크게 만들어주는 일이다. 외국 사람들이 어떻게 다른지, 어떤 면에서는 여러분과 얼마나 비슷한지 확인하면서 사고의 깊이를 늘려가길 바란다”고 했다.
영화는 실직 후 재취업을 위해 몸부림치는 평범한 회사원 가장 만수(이병헌)의 행적을 따라간다. 박 감독은 시상식 후 관객과의 대화에 참석해 한국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도 했다. 그는 “한국어로는 짧은 한단어로 통용되는 ‘가장'(家長)이 영어로 표현하려면 ‘헤드 오브 패밀리’(Head of family)라는 몇 개 단어로 표현된다. 한국은 가부장제 성격이 강하게 남아 있어 가장이 느끼는 책임감, 압박감이 강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주인공이 가족을 지키기 위해 저지른 행동이 오히려 가족을 붕괴시킨다는 거대한 패러독스 스토리 속에서 묘사된 부조리함, 연민, 유머는 세계 어느 도시든 비슷하게 공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SCAD 영화제는 세계 최대 규모의 대학 주관 영화제로 매년 10월 사바나 캠퍼스에서 개최된다. 올해 수상자로는 스파이크 리 감독, 오스카 아이작, 브랜든 프레이져, 아만다 사이프리드 등이 꼽혔다.
사바나=장채원 기자 jang.chaewon@koreadaily.com



![이민당국 단속 벌어진 현대차-LG엔솔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 [연합뉴스]](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현대차-LG엔솔-350x250.jpg)
![[SCAD 사바나 필름 페스티벌 홈페이지]](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사바나-영화제-350x250.png)
![사바나 지역이 잇단 제지공장 폐쇄로 대량 실업 사태를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I 생성 이미지]](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KakaoTalk_20251003_170641034_800-350x250.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