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유일하게 현대차 이름을 붙인 단과대학이 조지아주에 최초로 생긴다.
사바나주립대는 이달 현대차로부터 대학 역사상 최고액인 500만달러의 기부금을 받아 교육대학 명칭을 ‘현대’로 바꾸기로 했다. 내년 초 현판식을 앞두고 저메인 윌 사바나주립대(SSU) 총장을 최근 화상으로 만났다.
한국 기업이 미국인 교육에 수백만달러를 쏟아붓는 이유는 뭘까. 그것도 이공계 연구실이 아니라 K-12(유치원~고등학교) 선생님이 될 교대 학생들에게 돈을 쓴다. 윌 총장은 “경영, 과학, 인문학 등 5개 단과대를 소개했을 때 현대차가 가장 관심을 보인 대학은 뜻밖에도 사범대학이었다”며 “청소년 대상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수업과 문해력 교육을 지원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고 했다.
장기적으로 우수한 인력을 조달하려면 초중등 교육부터 고쳐야 한다는 판단이다. 윌 총장은 “초등학교 교사가 아이들에게 STEM 교육을 체계적으로 제공했을 때 이들이 20~30대 이후 어떤 청년으로 자라날 것인지에 대해 공통된 관심사가 있었다”며 “차세대 근로자가 될 학생들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춰야 현대차 공장도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라고 전했다.
교육의 초점은 대학 진학을 4년 정도 앞둔 8학년 학생들에게 맞춰져 있다. 학생 대부분이 고등학교에 진학하면서 평생의 커리어를 결정하는 것을 고려하면 그 전에 자동차 산업의 잠재 인력으로 키워야 하기 때문이다. 대학 측은 현대차 기부금을 활용해 인공지능(AI), STEM 관련 중고등생 대상 여름캠프 등 다양한 혁신 수업 방식을 개발할 방침이다.
‘현대차’ 브랜드는 대학 진학에 관심이 없는 학생들에게 진학의 동기가 될 수 있다. 1890년 설립된 사바나주립대는 135년 역사의 유서깊은 흑인 공립대학이지만, 이곳 사범 대학은 늘 정원보다 신입생이 적었다. 윌 총장은 “현대 대학을 졸업했다는 사실은 전국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는 매우 특별하고 자랑스러운 이력이 될 것”이라며 “졸업과 동시에 현대차에서 인턴으로 일할 기회를 갖게 된다. 장기적으론 캐롤라이나, 플로리다, 앨라배마 학생들도 현대 교육대학에 진학해 이곳에서 일자리를 찾게 될 것”이라고 했다.
장채원 기자 jang.chaewon@koreadaily.com



![이민당국 단속 벌어진 현대차-LG엔솔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 [연합뉴스]](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현대차-LG엔솔-350x250.jpg)
![사바나 지역이 잇단 제지공장 폐쇄로 대량 실업 사태를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I 생성 이미지]](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KakaoTalk_20251003_170641034_800-350x250.png)
![지난 3월 26일 브라이언 카운티에서 열린 현대차 메타플랜트 개소식에 참석한 켐프 주지사가 연설하고 있다. [켐프 엑스 캡처]](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켐프-현대-메타플랜드_800-350x25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