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행정부가 자국 전기차 배터리 산업 육성을 위해 31억6000만달러를 지원한다고 2일 발표했다.
CNBC 방송 등의 보도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해 11월 통과된 인프라법에 따라 31억달러를 자국 내 신규 자동차 배터리 공장 건설이나 기존 공장의 배터리·부품 공장으로 전환을 지원하는 데 사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에너지부는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배터리 리사이클링)에도 6000만달러를 별도로 지원할 계획이다.
제니퍼 그랜홈 에너지부 장관은 새로운 투자가 외국에 덜 의존하는 안정된 국내 공급망을 만드는데 필요한 자극제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2030년 미국 내 신차의 50%를 친환경 차량으로 대체한다는 목표 아래 대규모 보조금 지급 법안 통과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배터리 충전 인프라 확충을 위해 5년간 50억달러의 자금을 투입하기로 지난 3월 결정한 바 있다.
지난달 11월 의회를 통과한 인프라법은 도로와 교량, 수자원 공급, 인터넷 통신망 등 낙후한 물적 인프라 개선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1조2000억달러의 예산을 투입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사진 [출처 셔터스톡]](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shutterstock_2596875137-350x250.jpg)

![차량 가격과 유지비 상승, 금리 부담, 그리고 최근 관세 여파가 겹치면서 자동차 대출 연체와 압류가 급증하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출처 셔터스톡]](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shutterstock_2261704865-350x250.jpg)
![애틀랜타의 러시아워 교통체증 [ShutterStock]](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atlanta-traffic-_shutterstock_2450755739-1-350x250.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7월 대규모 감세안에 서명하며, 연방정부에서 전기차 구매시 지원하던 세액공제를 종료시켰다 [로이터]](https://www.atlantajoongang.com/wp-content/uploads/2025/10/전기차-350x25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