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만대 생산” 메타플랜트 인력 소폭 증가 그쳐
협력업체들, 관세부담 전가로 수익성 악화 걱정
30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조지아·앨라배마주 한국 자동차 및 부품 협력업체들이 생산원가 상승 등 적지않은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업계는 한국산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관세가 15%로 결정된 것에 최악은 면했다는 평가다. 미국은 지난 4월부터 이 품목들에 25% 관세를 부과해 왔다. 이번 협상으로 일본, 유럽연합(EU) 등 경쟁국과 같은 수준의 관세 부담을 지게 됐다. 트로이 스탠가론 전 워싱턴 DC 한미경제연구소(KEI) 선임국장은 본지에 “트럼프 행정부는 (협상에서) 누가 무엇을 내놓든 일정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려 했다”며 “따라서 최악의 관세라도 경쟁국과 동등한 수준이라면 좋은 결과가 되는 역설적 상황이 발생했다”고 짚었다. 그는 “한미 FTA에 따른 무관세 혜택이 사라진 건 아쉽지만, 트럼프 행정부 정책 기조에 비춰볼 때 15% 관세율은 선방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15% 관세로 인한 현대차·기아의 추가 비용을 50억 달러로 추산했다. 조안나 첸 블룸버그 애널리스트는 “추가 관세 부담만 해도 2024년 업체 영업이익의 25~30%를 차지하는 수치”라고 분석했다. 이미 두 회사 영업이익은 관세 영향으로 지난 2분기(4~6월) 큰폭으로 줄었다.
한국 자동차 업계는 다른 글로벌 브랜드보다 미국 현지 생산량이 적다. 관세 타격이 비교적 클 수밖에 없다. 현대차그룹은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서 연간 50만대 생산체제를 구축, 관세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생산 확대는 더디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지난 3월말 백악관에서 미국 내 120만대 생산 계획을 발표한 뒤 이달까지 4개월이 흘렀지만 메타플랜트 인력은 1200명에서 1400명(생산직 900명)으로 소폭 늘었다. 공장 채용 목표 2600명의 절반 수준이다.
부품업계도 관세 직접적 영향권이다. 협력업체들은 원가상승 압력을 부품 비용절감으로 전가시킬까 내심 걱정하고 있다. 공급선 다변화, 부품 가격 인상 억제 등을 통해 압박하면 협력업체 수익성은 악화될 수 밖에 없다. 메타플랜트 인근 부품 협력업체는 18여곳이다. HMGMA가 위치한 브라이언 카운티 내 1곳(현대 모비스)을 비롯해 블록(3곳), 채텀(3곳), 캔들러(2곳), 에핑햄(2곳) 등 사바나 반경 100마일 지역에 모여있다. 직간접 고용규모만 3만7000명에 달한다. 한미동남부상공회의소(SEUSKCC·회장 김재천)는 성명을 통해 “많은 업체가 미 첨단 제조업에 선의의 투자를 하고선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특히 최근 공장 건설에 뛰어든 업체들은 미국에서 조달할 수 없는 기계와 원자재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더 큰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했다.
사바나 통관회사 MKC의 마이크 최 대표는 “가격 경쟁력 위주로 소구해온 한국 자동차 업체는 관세 인상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다”며 “공급망 내 중소 하청기업들과 협력해 관세 손실을 메꿀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 회사는 한국을 비롯, 중국·태국·인도·베트남에서 자동차 부품을 주로 수입한다. 그는 “트럼프 말 한마디에 따라 관세가 오르내림세를 반복하는 상황에서 중소 협력업체들은 미래 경영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있었다. 이제 가격표가 명확해짐에 따라 본격적인 수출입 물량 변화가 있을 수 있다”며 “관세환급(Tariff drawback) 제도에 대해 문의하는 업체도 최근 늘었다”고 전했다.
장채원 기자 jang.chaewon@korea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