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외교부 장관이 미국 이민당국의 단속에 따라 구금된 한국인들의 석방 문제 협의를 마무리하고 유사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한 미국 당국과의 협의차 8일(한국시간) 미국으로 출국할 것으로 알려졌다.
7일 복수의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조 장관은 8일 오후 워싱턴DC를 향해 출국할 예정이다.
조 장관은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등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들과 만나 한국인 석방 문제의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기 위해 미측의 협조를 구할 것으로 보인다.
조 장관은 전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재외국민보호대책본부 본부-공관 합동대책회의에서 “필요하면 제가 워싱턴에 직접 가서 미 행정부와 협의하는 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날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구금된 근로자의 석방 교섭이 마무리됐다”면서도 아직 행정적 절차가 남아있다고 밝힌 만큼 관련 논의를 위해 직접 방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남은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한국인들을 귀국시킬 전세기를 보낸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조 장관은 이번 방미 계기에 유례없는 이번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미국 행정부 차원의 관심과 협조도 당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당국이 지난 4일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공장에서 벌인 단속은 단일 현장에서 사상 최대 규모로 이뤄진 것이다. 이번 단속으로 한국인 300여명이 체포됐고 대부분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구금 시설로 구금됐다.
특히 조 장관은 이번 사태의 근본 원인이 된 비자 문제가 향후 원활한 대미 투자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제기하며 한국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제도 운영이 개선돼야 한다는 점을 미측에 요청할 것으로 관측된다.
강 실장은 이날 “유사사례 방지를 위해 대미 프로젝트 관련 출장자의 비자 체계 점검 개선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대미 사업을 위한 단기 파견에 필요한 비자 카테고리 신설이나 비자 제도의 유연한 운영 등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미측과 협의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