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O 폐지하고 HMO 대체 많아
60대 고령자·중산층에 타격 집중
내년 건강보험료를 둘러싼 한인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65세 이상 의료보험인 메디케어와 저소득층을 위한 오바마케어(ACA) 비용이 모두 오르는 대신 보험 선택권과 혜택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5일 연례 메디케어 가입기간(AEP)이 시작된 가운데, 대부분 보험사들은 비용 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솔로몬보험 관계자는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플랜 가입자 한인 대부분은 보험료가 높더라도 자유로운 병원 접근성을 위해 PPO(preferred provider organization·원하는 전문의와 진료)를 선택하는데, 많은 보험사들이 수익성 악화로 비용 절감을 위해 PPO를 폐지하고 HMO(health maintenance organization·정해진 전문의와 진료)로 대체했다”며 “이에 따라 원하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으려면 더 높을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했다. 둘루스 최선호 보험의 최선호 대표도 “고객 유치를 위해 PPO를 내세우던 대부분의 보험사가 전략을 대폭 수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험사는 전국적인 의료 서비스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데 감당해야 할 비용이 크기 때문에 HMO를 선호한다. 다만 가입자 입장에서 주치의 리퍼럴을 통해서만 전문의를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선택권이 제한된다.
외래 의료 서비스를 위한 메디케어 파트B 가격도 오른다. 둘루스 스마트보험의 박혜진 에이전트는 “연방 예산안 합의가 아직 끝나지 않았지만, 파트B 월 부담금이 올해 185달러에서 내년 205달러 이상으로 최소 10% 높아질 것”이라고 전했다. 이는 평균 연 인상액 5~10달러를 넘어서는 금액이다. 아울러 무상으로 제공되던 치과, 보청기, 생활비 등 부가 의료혜택이 유료 전환을 예고한 경우가 많다. 박 에이전트는 “보험료와 물가 상승률을 감안해 내년 소셜 시큐리티 연금 지급액을 높여야 하는데, 복지예산 삭감을 외치는 트럼프 행정부 기조에선 쉽지 않아 보인다”며 “고령층이 체감하는 실질 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했다.
오바마케어 연방정부 보조금 지급이 연말로 종료되면 건보료는 최대 5배 이상 오를 수 있다. 한 한인 에이전트는 “거주지, 연령, 가족구성원, 연소득 등 가입자 특성별로 예상 보험료 인상폭은 각각 다르지만, 소득이 오바마케어 수혜 상한선을 넘는 중산층 보험료가 크게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보험료 타격이 집중되는 구간은 연소득 5만달러 이상 60대 초반이다. 그는 “자영업 한인 가입자 다수가 이 구간에 포함된다”며 “월 납입금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만성질환 진료비의 경우 자기부담금으로 충당하고, 입원이나 응급수술 비용만 보장하는 플랜을 주로 추천하고 있다”고 했다.
현재 공화당은 오바마케어 보조금 폐지를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다. 박 에이전트는 “수급자를 줄이기 위해 서류 절차도 까다롭게 변경했다”며 “그동안 잠정 연소득 서류를 기반으로 자격 심사를 했다면, 이젠 6개월마다 실소득액을 보고해야 한다. 자영업 종사자의 경우 반년마다 소득 서류를 만들어 제출하는 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우려했다.
장채원 기자 jang.chaewon@koreadaily.com